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에듀 포스팅] 표준화 시험 재도입 후 지원자 감소

2024-25 얼리 지원 결과가 발표되면서 상위 대학들의 입시 경향이 조금씩 드러나고 있다. 올해 입시에서는 몇 가지 주목할 만한 특징이 나타났는데, 특히 몇몇 아이비리그 대학들이 입시 데이터를 공개하지 않기로 한 점이 특징적이다. 이 글에서는 상위 대학들의 입시 데이터와 그 경향을 정리하고, 이를 통해 나타난 주요한 변화를  알아보자.   ▶표준화 시험 요구 재도입 후 지원자 수 감소 추세 브라운대는 올해 얼리 디시전에서 5048명의 지원자 중 906명을 합격시켜 17.9%의 합격률을 기록했다. 이는 작년의 14.4%에서 상승한 수치로, 2023학년도 이후 가장 높은 합격률이다. 브라운대는 올해 표준화 시험 점수 제출을 다시 요구하면서 지원자 수가 약 1200명 감소했다.  예일대도 지원자 수가 감소했다. 올해 얼리 액션 지원자는 6754명으로 작년 7856명에 비해 14% 줄어들었다. 예일은 728명을 합격시켜 10.8%의 합격률을 기록했다. 예일의 학부 입학처장은 “표준화 시험 정책 변화로 인해 지원자 풀이 줄어들 것을 예상했다”라고 밝혔다. 하지만 다트머스대는 표준화 시험 정책을 재도입했음에도 불구하고 작년과 동일한 3550명의 얼리 지원자를 기록했다. 이는 시험 요구 정책이 모든 학교에서 동일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보여준다.   ▶시험 선택 옵션을 유지한 학교의 지원자 증가 시험 선택 옵션을 유지한 학교들은 지원자 수가 증가했다. 에모리대는 지난해보다 21% 증가한 3311명의 얼리 지원자를 받았고, 그중 995명을 합격시켜 30%의 합격률을 기록했다. 듀크대는 6% 증가해 역사상 가장 많은 지원자를 기록했다. 노스웨스턴대도 6000명 이상의 지원자를 받아 작년보다 15.5% 증가했다.  콜롬비아대는 시험 선택 옵션을 유지했음에도 지원자 수가 작년보다 2.28% 감소한 5872명을 기록했다. 이는 모든 시험 선택 학교가 동일한 증가율을 보이지는 않음을 시사한다.     ▶지원 및 합격 데이터 비공개 하버드대는 올해 얼리 지원 데이터를 공개하지 않기로 하면서 10년간 유지했던 전통을 깨뜨렸다. 하버드는 지원자 수, 합격자 수,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데이터를 발표하지 않았으며, 입학처장 William R. Fitzsimmons의 언론 인터뷰도 생략했다.  콜롬비아대는 지원자 수는 공개했지만 합격자 수와 합격률은 밝히지 않았다. 존스홉킨스대는 Early Decision 1 라운드에서 551명을 합격시켰다고 발표했지만 지원자 수나 합격률은 공개하지 않았다. 프린스턴대와 코넬대도 2024학년도 이후로 데이터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 이는 데이터 공개를 줄여 대학이 받는 외부의 관심과 엘리트주의에 대한 인식을 줄이려는 노력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학업 성취도 평가 기준 변경과 중요한 평가 기준 발표 다트머스대는 얼리 합격자 중 95%가 고등학교 75% 상위권 성적을 기록했음을 발표하며 학업 성취도를 강조했다. 바너드대도 합격자의 96%가 학급 상위 10% 안에 드는 성적을 보유했다고 밝혔다. 이는 상위 대학들이 여전히 학업적 우수성을 주요 평가 기준으로 삼고 있음을 보여준다.여기서 보여주듯 이제 학업을 평가하는 기준이 각 학교의 성적이 몇 퍼센트에 속하는지를 기준점으로 삼기 시작했다.   또한 큰 변화는 각 대학별로 합격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구체적 내용을 발표했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카고 대학의 경우는 과외 활동보다는 학업적 호기심과 성취를 중요하게 평가하며 밴더빌트 대학의 경우는 학생이 지닌 가치와 리더십, 곧 사회에 영향을 미칠 활동 내용들을 중점적으로 평가한다는 기준을 발표 했다는 것이 크게 주목 할 내용이다.     ▶1세대 대학생 비율 증가 브라운, 바너드, 다트머스는 얼리 합격자 중 약 20%가 1세대 대학생으로, 각각 19%, 18%, 18%의 비율을 기록했다. 듀크대에서는 15.4%에 해당하는 131명이 1세대 대학생으로 합격했다. 이는 대학들이 사회경제적 다양성을 확대하려는 노력을 보여주는 지표다. 표준화 시험 정책 변화와 데이터 공개 여부는 올해 상위 대학들의 입시 경향에서 중요한 이슈로 떠올랐다. 시험 요구 정책 재도입이 지원자 감소로 이어졌지만, 시험 선택 옵션을 유지한 학교들은 지원자 수가 증가했다. 또한, 학업 성취도와 1세대 대학생 지원자에 대한 우선순위가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는 앞으로의 입시 정책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문의:(323)938-0300  www.a1collegeprep.com 새라 박 원장 A1칼리지프렙에듀 포스팅 표준화 재도입 지원자 증가 예일대도 지원자 액션 지원자

2025-01-07

올 가을학기 커먼웹 이용한 대학 지원…팬데믹 전인 2019년보다 20%나 증가

많은 대학들이 2023년 가을학기 입시결과에 대해 만족감을 표시할 것이라고 커먼앱(Common App)의 새로운 보고서가 전망했다.   이 보고서는 2023년 1월 1일까지 제출된 원서에 기반한 것으로, 일부 얼리 디시전(ED) 원서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커먼앱 관계자는 이 보고서가 조기전형 못지않게 정시지원(RD) 원서도 많이 포함하고 있다고 밝혔다.     팬데믹이 모든 지원자들에게 영향을 끼쳤기 때문에, 이 보고서는 데이터를 대부분 2019년 가을학기 입시와 비교하고 있다. 이 해는 팬데믹이 터지기 바로 전에 원서를 접수한 해다.     커먼앱을 통해 전국 대학에 접수된 원서 관련 통계에 따르면 2023년 1월 1일 현재까지 총 107만9936명의 신입생 지원자들이 모두 841개 대학에 지원했다.     이는 2019년 가을학기 입시 때의 90만3553명보다 20% 증가한 수치다.     특히 불충분하게 대표되는 소수계(URM) 지원자들은 4년 전보다 30%나 증가했다. 가족 중 처음으로 대학에 진학하려는 퍼스트 제너레이션(FG) 지원자는 35%나 늘었는데, 이것은 2019년 가을학기보다 가족 중 대를 이어 대학에 진학하는 지원자 증가 비율보다 거의 3배 늘어난 것이다.     커먼앱 수수료를 면제받을 수 있는 자격이 된다고 보고한 학생은 자격이 되지 않는다고 보고한 학생 비율보다 4배나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브루킹스 인스티튜트(Brookings Institute)’는 왜 대학 등록이 백인과 아시안, 그리고 더 부유한 학생들을 선호해 왔는지에 대해 새로운 정보를 제공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학업적 준비’가 그 이유다.     브루킹스 보고서는 “우리는 학업적 준비가 대학 등록에 있어서 사회 경제적인 차이, 성별의 차이, 인종 간 차이의 중대한 부분을 설명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사회경제적인 차이는 특히 4년제 대학 등록 여부를 통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사회경제적인 지위를 5분위 수로 나눈(SES quintile) 도표에서 탑 그룹에 드는 가정의 학생 중 89%는 대학에 등록한다.     이에 비해 도표의 바닥에 놓인 가정의 학생들 중에는 51%만이 대학에 등록한다. 무려 38%포인트 차이다. 그런데 학업적 준비상태가 비슷한 학생들 사이에서는 차이가 훨씬 작다. 비슷한 학업적 준비를 갖춘 학생 그룹에서는 사회경제적 지위의 5분위 수에서 탑 그룹에 있는 학생들이 바닥 그룹에 속한 학생들보다 대학에 등록하는 비율이 11%포인트나 높았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대학 등록률은 인종·민족에 따라 상당히 차이가 크다.     아시안의 83%, 백인의 72%, 히스패닉의 63%, 흑인의 62%가 고등학교 졸업 후 1년 반 내에 2년제를 포함한 대학에 등록한다. 고등학교 GPA, 수강한 수업, 표준시험 점수의 차이 역시 비슷한 패턴을 보인다. 고등학교에서 학업적 준비상태가 동일한 학생 그룹에서는 흑인, 히스패닉, 아시안 학생 모두가 비슷한 비율로 대학에 등록한다. 이것은 백인 학생의 등록률보다 5%포인트 높은 것이다. 비슷한 사회경제적 신분을 가진 학생들 사이에서는 아시안 학생들이 대학에 가장 높은 비율로 등록한다. 이에 비해 흑인, 히스패닉, 백인 학생들의 등록률은 서로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보고서를 통해 드러난 내용 중 중요한 것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23년 1월 1일까지 커먼앱을 통해 지원한 학생들을 볼 때 외국 유학생 지원자가 2019년 가을학기보다 거의 3배 가까이 증가했다. 가장 많은 유학생을 배출한 국가들은 중국, 인도, 나이지리아, 가나, 캐나다 등이다.     둘째, SAT·ACT 등 표준시험 점수를 제출하는 학생수가 큰 변동을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커먼앱에 따르면 2019년 가을학기 표준시험 점수를 제출한 지원자 비율은 78%였고,  2020년 가을학기 입시에서는 44%로 크게 하락했다. 그러나 2021년 가을학기는 48%로 소폭 반등했으며, 2023년 가을학기 입시에서는 지원자의 47%만 표준시험 점수를 제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입생 지원자 수는 사립대(13%)보다 공립대(39%)의 증가율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문의: (855)466-2783   www.theadmissionmasters.com 빈센트 김 카운슬러 / 어드미션 매스터즈가을학기 커먼웹 대학 등록률 지원자 증가 가을학기 입시결과

2023-02-2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